미국 부동산: 제2기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과 부동산 경기 회복
이어지는 부동산 경기 회복세 속에, 투자자는 제2기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정책들이 부동산 펀더멘털과 가치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요약
경제
- 2024년 4분기 실질 GDP 성장률 추정치는 3분기보다 하락한 가운데 소비 지출이 견조했던 점을 감안하면, 단기적인 비즈니스 불확실성, 재고 수준 둔화 등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 하락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실질 GDP 성장률에 대한 컨센서스 전망치는 1.7%에서 2.1%로 상승했습니다.
- 실업률은 최근 발표된 약 4%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불법 이민자 대량 추방으로 노동 가용성이 더욱 제한될 경우 노동 시장은 더욱 타이트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체로 시장에서는 대통령의 정책 기조, 특히 최근 관세 관련 조치들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크레딧 시장의 변동성은 되살아나던 투자 심리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계기가 됐습니다. ‘긴급 행정 명령’의 형태로 시행되는 정책 개혁 역시 정치적, 사법적, 제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
- 불법 이민자 추방, 관세 폭탄 등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행보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회복을 의미하는 두 가지 특징, 즉 거래 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부동산 가치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이후 모든 주요 부동산 섹터의 캡레이트(Cap Rate)는 과거 평균보다 리스크 프리미엄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위험 자산과 마찬가지로 기준 금리의 점진적 변화 (즉, 고금리의 장기화)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해 크게 상승했습니다.
- 기업 및 가계의 탄탄한 재무상태에 따른 임차인 수요, 개발 활동 둔화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성과는 현재의 완만한 성장 전망치보다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베어링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제 2025-4248672호 (2025.02.17~2028.02.16)